[그림 1] 빅인이 제안한 프로모션 마케팅 전략
프로모션 초반부 마케팅 전략 (1)
Bigin Ads의 광고 생성 기능을 활용하여 프로모션의 시작을 알리자
D사는 프로모션의 시작을 알리기 위해 웹사이트 외부에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퍼포먼스 마케팅을 운영하였습니다. 이때 활용한 Bigin Ads의 기능은 ‘광고 캠페인 생성 기능’입니다. D사는 이 기능을 활용하여 타겟 선정부터 광고 운영까지 손쉽게 진행하였습니다.
Bigin Ads의 광고 캠페인 생성 기능이란?
Bigin Ads의 ‘광고 캠페인 생성’은 캠페인의 목표에 따라 Facebook / Instagram, GDN, Kakao Moments에서 제공하는 타겟, 광고 유형에 맞추어 광고를 통합 생성하는 기능입니다.
Bigin Ads는 광고 통합 솔루션입니다. 따라서 마케터는 여러 광고 매체를 학습하지 않고도 몇 번의 클릭만으로 매체별 광고를 라이브 시킬 수 있는데요. 이런 기능은 캠페인 설계나 마케팅 전략을 기획할 필요가 없어 마케터의 리소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Bigin Ads 광고 캠페인 생성 기능으로 설정할 수 있는 목표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 유입수 극대화: 지속적인 브랜딩이 필요한 브랜드 혹은 초기 단계의 쇼핑몰에서 주로 사용하는 캠페인 목표입니다. 적은 비용으로 많은 잠재 고객을 모집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 재방문 유도: 자사몰에 한 번이라도 방문했던 고객에게 재방문을 유도하는 캠페인 목표입니다. 이제 막 브랜드를 인지한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광고를 노출시켜 우리 브랜드를 잊지 않고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 유효 타겟 확장: 자사몰에 방문했거나, 상품을 구매했던 고객의 특성과 유사한 타겟을 대상으로 광고를 운영할 수 있는 캠페인 목표입니다. 기존 고객과 유사한 타겟의 방문 혹은 재방문을 유도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 구매 활성화: 첫 구매 혹은 재구매 유도가 필요한 고객을 대상으로 광고를 운영할 수 있는 캠페인 목표입니다. 구매 가능성이 높은 타겟은 상품 조회 후 이탈한 고객,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고 구매하지 않은 고객 등이 있습니다.
네 가지 중 D사가 선택한 캠페인 목표는 ‘유입수 극대화’와 ‘유효 타겟 확장’ 그리고 ‘구매 활성화’였습니다.
이때 D사는 광고 소재를 프로모션 인지, 상품별 *USP(Unique Selling Point) 그리고 상품 이미지로 나누어 운영했습니다. 브랜드 인지부터 구매까지 이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USP(Unique Selling Point): 특정 상품이 가진 차별화된 특장점
기본적인 상품 이미지 이외에 프로모션 알림 소재와 상품별 USP 소재를 사용한 이유는 두 가지였습니다.
- 우리의 브랜드를 인지시키기 위해서 프로모션 소재를 활용하여 많은 고객의 유입을 유도한다.
- 상품별 USP를 통해 관심과 구매를 유도한다.
그렇다면 D사는 어떻게 캠페인 소재를 설정했을까요?
예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캠페인 예시 (1)
- 캠페인 목적: 신규 고객 중심의 프로모션 알림
- 캠페인 목표: 유입수 극대화, 유효 타겟 확장
- 광고 메시지 예시: 손꼽아 기다린 📱 출시 기념🎊 기본 젤리 케이스부터 프리미엄 하드 케이스까지! 최대 20% 할인된 가격에 만나보세요. 회원 가입도 하면 추가 5% 할인을 더!
캠페인 예시 (2)
- 캠페인 목적: A 상품의 USP를 활용한 자사몰 방문과 상품 구매 유도
- 캠페인 목표: 유입수 극대화, 유효 타겟 확장
- 광고 메시지 예시: 📱 사용자에게 가장 인기 있는 상품은 무엇일까요?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A 상품을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캠페인 예시 (3)
- 캠페인 목적: 상품 이미지를 카탈로그로 형식으로 노출하여 상품 구매 유도
- 광고 메시지 예시: 고객님이 찾던 인기 상품 여기에 다 있어요! 지금까지는 없었던 이런 할인 혜택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프로모션 초반부 마케팅 전략 (2)
페이지를 이탈한 고객도 다시 데려오자, Bigin CRM의 연계 캠페인 활용하기
위의 예시와 같이 D사는 프로모션을 알리고, 우리 브랜드에 적합한 신규 구매 고객을 찾기 위해 세 가지 캠페인을 운영했습니다. 그리고 D사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데려온 고객들이 구매 전환으로 이어지도록 만들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구매 전환 유도는 광고만으론 어려운 일입니다.
D사는 이런 고객도 놓치지 않기 위해 Bigin CRM의 연계 캠페인을 활용하여 CRM 마케팅을 진행하였습니다. 연계 캠페인으로 고객에게 일관된 경험을 제공하여 구매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지요.
고객에게 일관된 경험을 제공하는 Bigin CRM의 연계 캠페인이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