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매, 충성 고객들은 이미 우리 브랜드의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소통 방안을 마련하여 재구매를 유도하는 CRM 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입니다. 하지만 인지, 흥미, 고려 단계의 고객들은 방문과 첫 구매를 유도해야 하므로 웹사이트 외부에서 내부로 데려오는 퍼포먼스 마케팅 전략이 효과적이지요.
쉬운 이해를 위해 마케팅 퍼널별 고객의 특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지 단계의 고객
인지 단계의 고객은 우리 브랜드에 대해 전혀 모르는 상태입니다. 이 단계의 고객들에겐 우리 브랜드가 어떤 상품을 판매하고 있는지 알리며, 긍정적인 첫인상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우리 브랜드를 쉽게 기억할 수 있는 캠페인 소재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흥미 단계의 고객
흥미 단계의 고객을 대상으로는 우리 브랜드의 상품을 인지시키는 것에서 더 나아가 흥미와 관심을 유발해야 합니다. 이 단계의 고객들은 우리 브랜드가 어떤 상품을 판매하는지 알고 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상품의 주요한 특징 또는 다른 브랜드와의 차별성을 강조한 캠페인 소재를 활용하여 웹사이트로 방문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고려 단계의 고객
고려 단계의 고객은 상품 구매를 고민하는 상태입니다. 예를 들어 상품 상세 페이지를 조회한 사용자, 장바구니에 상품을 추가한 사용자 등이 있는데요. 이 단계의 고객들에겐 구매 욕구를 자극할 수 있는 캠페인 소재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CMF 전략의 2단계
유입 단계별 캠페인 목표 설정하기
M사는 유입 단계별로 타겟을 세분화한 후 그룹에 알맞은 캠페인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캠페인 목표 (1) 유입수 극대화
유입수 극대화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트래픽 캠페인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트래픽 캠페인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많은 잠재고객을 모을 수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MAU가 낮거나, 지속적인 브랜딩이 필요한 이커머스에서 주로 활용합니다.
M사는 인지 단계의 고객을 대상으로 '유입수 극대화'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트래픽 캠페인을 활용하였습니다.
캠페인 목표 (2) 유효 타겟 확장
유효 타겟 확장이라는 목표는 일반적인 전환 캠페인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전환 캠페인이란 목표로 설정한 이벤트를 하도록 유도하며 광고를 최적화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는데요. 유효 타겟 확장의 경우 방문을 전환 목표로 설정하여 방문 또는 재방문을 유도해야 하는 고객, 혹은 우리 웹사이트에 방문할 가능성이 높은 고객에게 광고를 노출합니다.
M사는 흥미 단계의 고객을 대상으로 '유효 타겟 확장'이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환 캠페인으로 광고를 운영하였습니다.
캠페인 목표 (3) 구매 활성화
구매 활성화라는 목표 역시, 전환 캠페인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활성화의 경우 ‘상품 구매’를 전환 목표로 설정하여, 구매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고객을 대상으로 캠페인을 노출할 수 있습니다.
M사는 고려 단계의 고객을 대상으로 '구매 활성화'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환 캠페인으로 광고를 운영하였습니다.
CMF 전략의 3단계
캠페인 소재의 성과를 분석해 고객이 반응하는 명확한 소구점 찾기
유입 단계별로 고객을 나누고, 캠페인 목표를 설정했다면 고객이 반응하는 명확한 소구점을 찾을 차례입니다. |